차즈기 추출물 효능 BEST 3 눈 포커스가 흐리다면...

이 글은 차즈기 추출물에 관한 내용입니다. 루테올린 성분의 효능, 하루 권장량, 섭취 방법, 영양제 추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루 종일 눈을 사용하느라 피로감을 느끼시죠? 눈은 빠르게 피로감을 느끼는 기관이며, 노화로 인해 시력 저하를 겪게 되는데요. 물체가 흐릿하게 보여서 걱정되기도 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기만 해도 눈 피로감 개선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흐릿한 시야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눈 피로도 개선에 효능이 있는 자줏빛 차즈기 잎에서 추출한 루테올린 성분
차즈기 추출물 효능


1.무엇인가요?

깻잎 좋아하시죠? 삼겹살에 쌈을 싸먹어도 맛있고, 양념을 해서 먹거나 볶아 먹어도 맛있는데요. 감자탕이나 전골에 넣어먹으면 독특한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차즈기(차조기, Perilla frutescens var. acuta)란 자줏빛을 띠는 들깨속 식물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초록색 깻잎과는 달리 잎이 자줏빛을 보입니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일본, 베트남, 인도 그리고 미국, 영국 등 많은 나라에서 자라는 식물인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자소엽(紫蘇葉)이라고도 부르는데, '자줏빛 자, 되살아날 소, 잎 엽'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성분

빨간통 다이어트라고 불리며 체지방 감소에 효능이 있는 콜레우스포스콜리처럼, 붉은 빛깔을 내는 차즈기는 야생 콜레우스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추출물 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자소엽의 잎을 사용하여 약 90도의 온도로 추출하고 여과, 농축, 살균, 건조의 과정을 거치면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루테올린 배당체 성분(Luteolin-7-O-diglucuronide, L7DG™)을 얻을 수 있습니다.


3.효능

우리의 눈은 잠을 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쉬지 않고 일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약 80% 이상은 시력을 통해서 얻는다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다시 말하면, 눈에 생긴 문제는 일상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는 차즈기 추출물(루테올린)의 기능성에 대해 눈의 피로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하였습니다.

  • 눈의 피로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수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감 개선
  • 항산화와 간 건강 개선

눈 피로도 개선

우리의 눈은 각막, 홍채, 황반 등 다양한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에서 모양체는 홍채 주변에 위치하면서 눈 근육의 수축과 이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모양체의 근육이 수축하면 가까운 물체에 초점이 맞게 되고, 모양체의 근육이 이완하면 멀리 있는 물체에 초점이 맞게 되는데요.

눈에 피로도가 누적되면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물체를 볼 때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보이고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겪게 될 수도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눈 근육의 긴장을 유도하는 성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눈 근육 이완을 돕는 성분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수면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감 개선

하루 수면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체크해 보셨나요? 하루 권장 수면시간은 6~8시간 정도이지만, 현대인은 4~6시간 정도밖에 수면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수면시간이 부족할 경우 일상생활에서 삶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요. 꾸벅꾸벅 졸게 되거나, 두통이나 어지러움, 식욕부진, 우울감, 잦은 짜증이 나기도 하며, 행동 부주의와 판단력 부족으로 인해 큰 실수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이 개선되었다고 하는데요. 뇌세포 신경 전달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기억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수치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항산화와 간 건강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과 녹차의 카테킨은 항산화, 항암에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루테올린도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성분 중 하나이며 항산화, 항염, 항암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우리가 호흡을 하며 만들어진 활성산소는 온몸을 돌아다니면서 정상세포, 혈관 등을 공격하여 동맥경화, 염증, 암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연구에 따르면 세포의 생존을 돕고 염증이 감소하였으며, 종양 세포 및 전이를 억제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급성 간 손상과 간 염증 약화에도 개선을 보였다고 합니다.


4.하루 권장량

조금이라도 눈을 편하게 보도록 도울 수 있다면 하루에 얼마나 섭취해야 할까요?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는 차즈기 추출물 일일 섭취량에 대해 500mg(L7DG™ 22.3mg)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식전 식후

언제 섭취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루테올린은 물에 녹지만 소화 과정에서 활성화가 되는데요. 식사 전에 섭취하셔도 문제는 없으며, 공복 섭취로 위를 자극하여 메스꺼움을 느끼신다면 식후에 섭취하세요.

녹차 좋아하시죠? 녹차의 테아닌 성분은 긴장과 불안감 완화를 돕고, 카테킨 성분은 체지방 감소를 도와서 인기가 많은데요. 자소엽의 잎을 차로 우려서 드시는 경우 하루에 3.7g 섭취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5.영양제 추천

내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눈 건강 영양제를 고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눈 건조로 불편함을 겪고 계신다면 오메가3를 섭취하세요.

당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비타민A는 어두운 상황에서의 눈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비타민A 그리고 비타민A로 전환되는 베타카로틴 성분이 들어있는 영양제를 선택하세요.

시력을 담당하는 황반 색소는 노화로 인해 점점 줄어드는데요. 황반 색소 밀도 유지를 돕는 마리골드꽃 추출물의 루테인과 지아잔틴을 선택하세요.

스마트폰과 모니터는 현대인에게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 아침부터 잠들 때까지 눈을 뜨고 있다 보니 눈에 피로감을 강하게 느끼게 되는데요. 눈의 피로감 개선 효과를 기대하신다면 아스타잔틴, 빌베리 추출물을 선택하세요.


6.부작용

부작용 없이 섭취할 수 있다면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안정성 시험에 따르면 심각한 부작용 사례, 독성, 이상반응이 보고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어린이, 임산부, 수유부는 섭취에 주의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평소 특정 질환이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그리고 이상 사례 발생 시 섭취에 주의할 것을 권장하며,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7.정리

차즈기란 무엇인가요?

자줏빛을 띠는 들깨속 식물을 말하며 보라색 깻잎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자소엽이라고 부릅니다.

차즈기 추출물은 어떤 효능이 있나요?

자소엽의 잎에서는 눈 건강에 이점이 있는 루테올린 배당체 성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식약처에서는 기능성에 대해 눈의 피로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정하였습니다.

차즈기 추출물 하루 권장량은 얼마인가요?

식약처 일일 섭취량은 차즈기 추출물로서 500mg, 루테올린 배당체로서 22.3mg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차즈기 추출물은 언제 먹어야 효과가 좋나요?

루테올린 배당체는 물에 잘 녹고 소화 과정에서 활성화가 되므로 식사 전에 섭취하셔도 좋으며, 식후에 섭취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차즈기 추출물은 부작용이 있나요?

안정성 시험에 따르면 심각한 부작용 사례, 독성, 이상반응이 보고되지 않을 만큼 안전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 특정 질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섭취에 주의할 것을 권장합니다.

차즈기 추출물은 왜 먹어야 하나요?

눈의 모양체는 홍채 주변에서 눈 근육의 수축과 이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눈에 피로도가 누적되면 물체에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보이게 됩니다. 차즈기 추출물은 눈 근육 이완을 도와 눈 피로도 개선에 이점이 있습니다.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을 오래 보는 경우 꾸준히 섭취하세요.


    참고문헌

    • 정경인, 김재용, 최철웅, 서정성, 서은선 and 유근창. (2018). 열수 추출한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4주간 섭취가 굴절이상과 시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20(2), 119-128.
    • Ryu D, Jee HJ, Kim SY, Hwang SH, Pil GB, Jung YS. Luteolin-7-O-Glucuronide Improves Depression-lik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Sleep Deprivation Stress Model by Activation of the BDNF Signaling. Nutrients. 2022 Aug 12;14(16):3314. doi: 10.3390/nu14163314. PMID: 36014820; PMCID: PMC9412559.
    • Park CM, Song YS. Luteolin and luteolin-7-O-glucoside protect against acute liver injury through reg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antioxidative enzymes in GalN/LPS-induced hepatitic ICR mice. Nutr Res Pract. 2019 Dec;13(6):473-479. doi: 10.4162/nrp.2019.13.6.473. Epub 2019 Sep 9. PMID: 31814922; PMCID: PMC688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