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어야 할 나쁜 장 건강 증상 7가지와 해결책 점검하기

장은 미생물이 균형을 이루며 면역 체계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소화 과정의 음식물이 장에 도착하여 영양소를 흡수하고 배변활동을 이어갑니다. 어떤 음식을 먹고, 어떤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장 건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장 건강이 나빠지면 나타나는 증상들이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해 보고 해결책을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내 건강에 대해 되돌아본다면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빨간색 배경에 파란색 사과 한 개
나쁜 장 건강 7가지 증상


장 건강이 나쁘면 나타나는 증상 7가지

1. 장이 보내는 첫 번째 경고 신호인 변비

변비는 장의 활동이 줄어들고 변비 유발 증상을 무시하고 지나쳤을 때 나타납니다.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변이 건조하고 단단해지면서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이 부족하면 장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변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항생제나 약물을 복용하면 유익균이 죽는 등 장의 균형을 무너뜨려서 변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수분을 끌어당기며 변의 부피를 크게 늘리고 장 건강이 활발하도록 돕습니다. 과일, 채소 등 식이섬유와 충분한 수분 섭취는 변비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2. 두 번째 경고 신호인 대변의 변화

대변은 현재 장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색, 모양, 냄새, 빈도, 점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장이 보내는 경고 신호를 눈치챌 수 있습니다.

어떤 음식을 먹는지에 따라 대변의 색, 모양, 냄새가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황금색과 갈색은 문제가 없는 자연스러운 경우입니다. 검은색은 출혈이 있거나 수분이 부족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초록색은 초록 채소 등의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자주 나타납니다. 노란색 혹은 기름때가 함께 나온다면 지방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토끼똥처럼 나온다면 수분 섭취와 활동량을 늘리는 것이 좋고, 단단하지 않고 묽게 나오는 경우 식이섬유 섭취량을 늘리면 도움이 됩니다.


3. 설사

설사는 대변이 단단하지 않고 묽게 반복되어 배출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설사는 일상생활에서 불편함과 불안감을 주기 때문에 조금 더 주의 깊게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는 주로 장의 염증, 세균 감염, 균의 균형이 무너졌을 때 발생합니다. 설사는 신선하고 건강한 식단 섭취로 개선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채소, 과일, 요구르트, 김치, 치즈 등 신선하고 발효된 유산균 제품 섭취가 장 건강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요리를 할 때에는 재료와 도구를 깨끗하게 씻습니다.

설사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음식과 세균 감염의 문제가 아니라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체중 변화와 영양 결핍

장 건강이 나빠지면 영양 결핍이 일어나 체중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가 섭취한 음식은 소화 과정을 거치며 영양소를 흡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소화 문제, 장 질환, 수술 후 변화, 의약품 복용 등으로 인해 영양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양 결핍의 신호는 철분 결핍의 빈혈, 칼슘 결핍의 골다공증, 비타민 D 결핍의 피로감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 균형 잡힌 식단 섭취가 중요하며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건강 영양제 복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복통과 복부팽만

속이 더부룩하거나 소화 과정에서 가스가 차는 느낌이 자주 있다면 건강을 되돌아보아야 합니다. 과식과 불규칙한 식사는 소화에 문제가 됩니다. 자극적인 음식은 소화를 방해하여 위, 장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위산 과다 및 역류는 복통과 복부팽만의 원인이 됩니다.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하며 채소와 건강한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일의 당분은 장에서 가스를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분과 발효음식 섭취는 소화를 돕고 식이섬유는 가스 발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6. 피부 트러블

피부에 여드름, 염증, 건조 등 문제가 있다면 장 건강이 나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장은 면역력의 약 70~8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장 건강이 나빠지면 면역체계가 무너지면서 피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장의 균형이 깨지고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붉은 반점, 가려움, 여드름, 발진 등의 피부 트러블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피부 회복은 수면을 통해 효과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내 환경 개선을 도와주는 유산균 섭취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7. 피로감

공부, 업무 등 과도한 스트레스는 장의 움직임을 둔화시키고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과식은 장의 운동 시간을 늘리기 때문에 피로감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또는 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소화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피로감의 개선을 위해서는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통해 장을 활성화하고 기능성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소화에 오래 걸리고 부담을 주는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을 줄이고 소화가 잘 되는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정리

  1. 변비
  2. 대변의 모양, 색, 냄새, 빈도, 점도의 변화
  3. 설사
  4. 체중 변화와 영양 결핍
  5. 복통과 복부팽만
  6. 피부 트러블
  7. 피로감